요강공고 | - 3.8.(수) |
---|---|
접수기간 |
- 1차:7.3.(월) ~ 7.5.(수) / 3일간 - 2차:8.28.(월) ~ 8.30.(수) / 3일간 / 방문 및 우편(택배) 접수 |
심사일 |
- 1차:8.5.(토) 14:00 - 2차:9.16.(토) 14:00 |
결과발표 |
- 1차:8.17.(목) - 2차:9.26.(화) |
전시회 |
- 1차:10.20.(금) ~ 10.22.(일) / 3일간 / 평면1·3부문-특선이상 / 서산시문화회관 전시실 - 2차:10.27.(금) ~ 10.29.(일) / 3일간 / 평면2·입체부문-특선이상 / 서산시문화회관 전시실 |
시상식 | - 10.28.(토) 14:00 / 장려상 이상 / 서산시문화회관 대공연장 |
요강공고 | - 3.7.(화) |
---|---|
접수기간 | - 5.29.(월) ~ 5.31.(수) / 3일간 / 방문 및 우편(택배) 접수 |
심사일 | - 6.17.(토) 14:00 |
결과발표 | - 6.29.(목) |
전시회 | - 7.20.(목) ~ 7.22.(토) 16:00/ 3일간 / 장려상 이상(46점) / 서산시문화회관 전시실 |
시상식 | - 7.22.(토) 15:00 / 장려상 이상 / 서산시문화회관 대공연장 |
일시 | - 11.9.(목) / 11:00 / 안견기념관 |
---|
일시 | - 11.29.(수) / 14:00~16:30 / 서산시문화회관 소공연장 |
---|
서산이 낳은 위대한 조선시대 최고 산수화가인 현동자 안견선생의 예술혼을 기리고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을 계승·발전키시며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합니다.
안견이 남긴 작품은 기록들에 상당수가 보인다. 그 중에서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442년에 제작된 「비해당 25세진」, 1443년의 「이사마산수도(李司馬山水圖)」, 1445년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『보한재집』에 기록되어 있는 「팔경도(八景圖)」 등 30점이 있다. 1446년과 1447년에 제작된 「팔준도(八駿圖)」, 1447년 이전에 그려진 「임강완월도(臨江玩月圖)」, 1447년에 제작된 「몽유도원도」, 1448년에 그려진 「대소가의장도(大小駕儀杖圖)」 1464년에 중국 사신을 위하여 그린 「묵죽도(墨竹圖)」 등도 대표적이다. -출처: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|
1경군(一景群) |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평범하고 사실적인 산들로 현실세계를 나타낸다. |
---|---|
2경군(一景群) | 도원의 바깥쪽 입구로서 기암절벽의 산길을 따라 원근감(遠近感)과 오행감(奧行感)을 느낄 수 있다. |
3경군(一景群) | 이 곳의 산들은 도원의 안쪽 입구를 형성하며, 산길 우측을 향하여 단을 이루며 흘러내리는 폭포가 절정을 이룬다. |
4경군(一景群) | 안평대군이 꿈에서 본 도원의 풍경으로 빨간색, 연분홍색의 복숭아꽃과 노랑색과 금채로 묘사한 꽃심이 영롱한 분위기를 자아내며, 봄날의 아득한 느낌을 부감법으로 고조시켜 준다. |